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8

32부. 경기도 지역 이름별 어원 분석 – 의정부시 ✅ 관할 행정동 및 어원 의정부시는 행정구역상 15개의 행정동(2025년 기준)을 두고 있으며, 각 동명은 지역의 지리적 특징, 역사적 배경, 또는 전통적 명칭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의정부동의정부시의 중심부에 위치한 동으로, 시청과 주요 관공서가 밀집해 있는 지역입니다. ‘의정부’라는 명칭은 조선시대 최고 국정기관인 의정부(議政府)에서 비롯되었는데, 이는 곧 국정의 중추를 의미합니다. 조선 태조 이성계가 함흥에서 한양으로 천도하는 과정에서 잠시 이곳에 머물렀다는 기록이 있어, ‘왕이 정사를 논의하던 장소’라는 전설적 배경이 더해졌습니다. 가능동‘가능’이라는 지명은 ‘가까운 능선’ 혹은 ‘길목의 능선’을 뜻합니다. 이는 이 지역이 과거 교통 요지이자 한양 북쪽 관문 역할을 했다는 점과 관련이 있습니다. 일제.. 2025. 5. 12.
31부. 경기도 지역 이름별 어원 분석 – 하남시 ✅ 관할 행정동 및 어원 하남시는 1989년 광주시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시로, 현재 행정동은 덕풍1·2·3동, 신장1·2동, 창우동, 풍산동, 미사1·2동, 위례동, 감북동, 감일동, 초이동, 춘궁동, 천현동, 학암동, 교산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동의 명칭은 역사적, 지리적, 자연적 특징을 반영하고 있습니다.덕풍동은 하남시 중심지로, ‘덕이 풍성하다’는 뜻을 지닌 한자어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조선시대부터 이 일대는 사람들이 모여 살던 중심지였으며, 풍수지리적으로도 좋은 기운이 흐르는 지역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풍덕(豊德)’이라는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으며, 주민들의 삶의 질이 높고 도덕적 풍속이 바르다는 의미를 지니기도 합니다.신장동은 ‘새롭고 길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도로가 시원.. 2025. 5. 11.
30부. 경기도 지역 이름별 어원 분석 – 고양시 ✅ 관할 행정동 및 어원 고양시는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특례시로, 덕양구, 일산동구, 일산서구의 3개 일반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44개의 행정동을 관할합니다. 각 행정동의 명칭은 역사적, 지리적, 문화적 배경에 따라 유래되었습니다. 먼저, 덕양구의 주요 동을 살펴보면 ‘덕양’이라는 명칭 자체가 조선시대 덕양현에서 유래되었으며, 지금의 고양시 지명의 한 축이 되었습니다. 행주동은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 권율 장군이 대첩을 벌인 곳으로 유명하며, 본래는 '살구나무가 많은 물가'를 의미하는 ‘행주(杏洲)’에서 시작되었으나, 후에 ‘행주대첩’의 역사성을 강조하기 위해 ‘행복할 행(幸)’ 자를 써서 ‘행주(幸州)’로 바뀌었습니다. 관산동은 과거 고양군의 관아가 위치했던 곳으로, ‘관’과 ‘산’을 합쳐 지명이 .. 2025. 5. 10.
29부. 경기도 지역 이름별 어원 분석 – 성남시(2) 🏯 지명 유래 및 이야기 ‘성남(城南)’이라는 지명은 문자 그대로 ‘성의 남쪽’을 의미한다. 여기서 ‘성’은 조선시대 국방과 행정의 핵심 거점이었던 남한산성을 가리키며, 성남이라는 도시는 바로 이 산성의 남쪽에 위치한 지역이라는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조선시대 사람들은 이 일대를 ‘성나미’ 또는 ‘성내미’라고 불렀는데, 이는 ‘성 너머에 있는 마을’, 혹은 ‘성 바깥쪽’이라는 뜻의 방언 표현이다. 이러한 명칭은 남한산성을 중심으로 한 공간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지리적 위치에 따라 자연스럽게 불려지던 이름이 시간이 흐르면서 한자식 표현으로 정착된 것이다.이후 근대에 들어 행정구역 개편과 도시개발이 본격화되면서 ‘성남(城南)’이라는 명칭이 공식 지명으로 채택되었다. 특히 성남은 한양과 가까우면서도 성.. 2025. 5. 9.
28부. 경기도 지역 이름별 어원 분석 – 성남시(1) ✅ 관할 행정동 및 어원 – 수정구 수정구는 성남시의 동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전통적인 농촌 마을과 근현대 도시개발의 흔적이 함께 어우러진 구역이다. '수정(壽井)'이라는 명칭은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오래 살고(壽), 복된 우물(井)’을 의미하며, 이는 예로부터 사람이 살기에 좋은 지형과 풍수적 여건을 갖춘 마을이라는 긍정적인 상징을 담고 있다. 실제로 수정구는 조선시대부터 남한산성 아래의 배산임수 지형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자연환경이 비교적 잘 보존된 지역이기도 하다. 수정구는 성남시가 시로 승격된 1973년 이후에도 원주민의 터전과 초기 이주민 정착지의 색채가 뚜렷하게 남아 있어 전통과 변화가 공존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수정구의 주요 행정동으로는 신흥동, 태평동, 수진동, 산성동, 단대동, .. 2025. 5. 8.
27부. 경기도 지역 이름별 어원 분석 – 수원시 ✅ 관할 행정동 및 어원 경기도 수원시는 장안구, 권선구, 팔달구, 영통구의 4개 일반구와 42개 행정동으로 구성된 도시입니다. 각 구와 동의 이름은 역사적 사건, 지리적 특성, 유교적 가치 등에서 유래하였으며, 도시의 문화와 정체성을 반영합니다.먼저 장안구(長安區)는 ‘오래도록 편안하다’는 뜻으로, 사람들이 장수하고 평안하게 살기를 바라는 의미에서 명명되었습니다. 이는 한나라 장안(長安, 현재의 시안)을 본떠 고귀하고 안정된 도시로 가꾸고자 한 정조의 이상이 투영된 이름입니다.권선구(勸善區)는 조선 말기의 학자 이고(李杲)가 은거하며 ‘선을 권한다’는 뜻으로 명명하였으며, 선한 삶을 장려하고자 하는 유교적 사상을 담고 있습니다. 팔달구(八達區)는 수원 화성의 남문인 팔달문에서 유래하였는데, ‘팔달’은 .. 2025.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