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8

21부. 서울 지역 이름별 어원 분석 – 금천구 편 서울 남서부에 위치한 금천구(衿川區)는 1995년 구로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의 마지막 자치구로, 과거 농경지와 산업지대를 아우르던 지역에서 첨단 산업단지와 주거 지역이 공존하는 도심으로 변화해온 곳이다. 한강의 지류인 안양천과 호암산 자락에 걸쳐 있으며, 고대 백제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와 지명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다. ✅ 금천구 관할 행정동 및 어원 현재 금천구는 3개 법정동(가산동, 독산동, 시흥동)을 기반으로 행정동이 나뉘어 있다.가산동은 1963년 가리봉리와 독산리를 합쳐 만든 동으로, '가리봉'의 ‘가’자와 '독산'의 ‘산’자를 따서 지어졌다.독산동은 ‘벌거벗은 산’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 실제로 이 지역의 산봉우리에 나무가 없어 ‘독(禿)’ 자를 사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2025. 4. 30.
20부. 서울 지역 이름별 어원 분석 – 양천구 편 서울 서남부에 위치한 양천구(陽川區)는 한강과 안양천을 끼고 있는 교통과 문화의 요충지입니다.‘양천’이라는 이름은 고려 충선왕 2년(1310년)에 처음 등장하며, "밝은 태양과 맑은 물이 흐르는 고을"이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양천구는 한강 서쪽 비옥한 평야지대를 중심으로 고대부터 중요한 농업·수운 지역이었고, 현대에는 서울의 대표적인 주거지역이자 교육·문화 중심지로 성장해왔습니다. ✅ 양천구 관할 행정동 및 어원 양천구는 3개 법정동(목동, 신정동, 신월동)을 중심으로 세분화된 행정구역을 관할하고 있으며, 각 동의 이름은 지역의 지형과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목동(木洞)은 '나무(木)가 많은 마을' 또는 '목장(牧場)이 있던 들판'을 의미합니다.조선시대에는 왕실 소속의 양을 키우는 목장이 있었.. 2025. 4. 29.
19부. 서울 지역 이름별 어원 분석 – 강서구 편 서울특별시의 서쪽 끝자락에 자리한 강서구(江西區)는 이름 그대로 한강 서쪽 지역을 아우르는 넓은 구역입니다.삼국시대부터 중요한 거점이었던 이 지역은 수천 년 동안 강과 들, 바다와 맞닿은 교통·상업·농업의 중심지로 발전해왔습니다.현재의 강서구는 김포공항과 대규모 주거단지, 전통 문화유산이 공존하는 서울의 서부 관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강서구 관할 행정동 및 어원 강서구는 자연지형, 산업, 전설 등을 반영한 독특한 지명들이 많은 곳입니다.각 행정동의 이름은 지역의 역사와 생활상, 지형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화곡동(禾谷洞)은 ‘벼가 잘 자라는 골짜기’라는 뜻을 가집니다. 예부터 비옥한 토지를 자랑했으며, 벼농사가 활발했던 전통 농촌지역이었습니다. 염창동(鹽倉洞)은 조선시대 서해 염전에서.. 2025. 4. 28.
18부. 서울 지역 이름별 어원 분석 – 은평구 편 서울특별시 서북부에 위치한 은평구(恩平區)는 전통적인 교통 요지이자 자연과 문화가 어우러진 지역입니다.은평이라는 이름은 조선시대 한성부 북부 지역인 연은방(延恩坊)과 상평방(常平坊)의 각 글자를 따서 명명된 것으로, ‘은혜롭고 평화로운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선사시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해 온 이 지역은 삼국시대에는 위례성 관할 아래 있었고, 조선시대에는 중요한 교통로인 의주로가 지나던 중심지였습니다.현대에 와서는 서울의 녹지와 주거, 문화의 조화를 이룬 지역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 은평구 관할 행정동 및 어원 은평구는 현재 11개의 법정동을 중심으로 세분화된 16개의 행정동을 관할하고 있으며, 각 지역명은 자연지형, 사찰, 역사적 사건 등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녹번동은 '녹반(綠礬)'이 나는 고.. 2025. 4. 27.
17부. 서울 지역 이름별 어원 분석 – 도봉구 편 ✅ 도봉구 관할 행정동 및 어원 도봉구는 서울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도봉산 자락 아래 자리잡고 있으며 자연과 도시가 조화를 이루는 지역이다. 현재 도봉구는 도봉1동, 도봉2동, 방학1동, 방학2동, 방학3동, 쌍문1동, 쌍문2동, 쌍문3동, 쌍문4동, 창1동, 창2동, 창3동, 창4동, 창5동까지 총 14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봉구의 지명은 대표적인 명산인 도봉산에서 유래하였다. ‘도봉(道峰)’이란 이름은 ‘길 도(道)’와 ‘봉우리 봉(峰)’이 합쳐진 것으로, 예로부터 도를 닦는 선비와 승려들이 수도의 장소로 삼았던 이 산의 신성함과 기품을 상징한다. 이 도봉산 아래 형성된 마을이 ‘도봉동’이 되었고, 나중에 행정구역 명칭으로 확장되었다. 창동은 조선시대 이곳에 국영 창고가 있던 ‘창골’.. 2025. 4. 26.
16부. 서울 지역 이름별 어원 분석 – 서대문구 편 서울특별시의 서쪽에 자리 잡은 서대문구(西大門區)는 조선시대 한양 도성의 서쪽 대문인 '돈의문(敦義門)'에서 이름을 따온 지역으로, 전통과 근대가 함께 공존하는 서울의 역사문화 중심지입니다.서대문은 본래 한양 도성의 4대문 중 하나로서, 의로움을 지키는 관문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었습니다.비록 1915년 일제강점기에 철거되어 오늘날 그 실체는 사라졌지만, '서대문'이라는 지명은 서울 서부의 상징으로 남아 있으며, 지금도 서울 시민들의 정서 속에 역사적 중심으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 서대문구 관할 행정동 및 어원 서대문구는 현재 14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동명은 그 지형, 전통 마을의 이름, 인문적 상징 등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동들의 어원 및 특징입니다. 충현동(忠峴洞)은.. 2025.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