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9 바흐의 두 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 BWV 1043 해석과 뮤직비디오 1. 작곡 배경 – 두 개의 선율, 하나의 대화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그 이름만으로도 클래식의 위대한 전통과 깊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 바흐의 수많은 작품 중에서도 특히 사랑받는 곡 중 하나가 바로, 오늘 소개할 두 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 D단조, BWV 1043입니다. 이 작품은 흔히 **"더블 바이올린 협주곡"**이라 불리며, 바흐가 남긴 협주곡 중 가장 아름답고 서정적인 작품으로 손꼽힙니다.이 협주곡은 1730년경, 바흐가 **라이프치히의 콜레기움 무지쿰(Collegium Musicum)**에서 활동하던 시기에 작곡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당시 바흐는 교회 음악 외에도 세속적인 음악회와 연주 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었고, 이 협주곡 역시 그러한 공연을 .. 2025. 3. 31. [모차르트] 교향곡 제25번 G단조, K.183 해석과 뮤직비디오 1. 작곡 배경 – 17세 청년, 감정을 쏟아낸 첫 번째 비극 1773년 가을,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불과 열일곱 살의 청년이었습니다. 이미 여러 차례 유럽을 여행하며 음악 신동으로 명성을 떨치던 그는, 이탈리아 오페라 루치오 실라의 성공 이후 빈을 거쳐 다시 고향 잘츠부르크로 돌아왔습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짧은 시간 안에 두 개의 교향곡을 연달아 작곡하게 됩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오늘 소개할 교향곡 제25번 G단조, K.183입니다. 이 작품은 단순히 “젊은 천재가 만든 또 하나의 음악”이 아닙니다. 모차르트가 처음으로 단조(短調), 즉 어두운 정조를 선택한 교향곡이라는 점에서 특별합니다. 그의 교향곡 중 단조는 단 두 곡뿐인데요, 하나는 이 곡 25번, 또 하나는 뒤에 작곡된 40번입니다... 2025. 3. 30. 클래식 공연 관람 가이드 & 악기별 감상 포인트 클래식 공연 관람 가이드 클래식 음악은 음반이나 스트리밍으로도 즐길 수 있지만, 무엇보다 생생한 감동은 현장에서의 실연(實演*을 통해 경험할 수 있습니다. 클래식 공연은 그 특유의 분위기와 예절이 존재하기 때문에 처음 접하는 분들에겐 약간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기본적인 정보를 알면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습니다. 먼저, 드레스 코드에 대한 걱정은 과하지 않아도 됩니다. 특별한 갈라 콘서트나 오페라 프리미어가 아닌 이상, 정장까지는 필요하지 않으며 단정한 캐주얼 복장도 충분합니다. 단, 너무 캐주얼하거나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는 의상(예: 비닐 재질의 바지)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연장에 도착하는 시간도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공연 시작 10~20분 전까지 입장하는 것이 .. 2025. 3. 29. [클래식 이야기] 카덴차(Cadenza)란? 협주곡 속 자유와 창조의 순간 1. 카덴차란 무엇인가? 카덴차(Cadenza)는 주로 협주곡에서 등장하는 독주자의 독립적인 연주 구간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1악장의 마지막 부분에 배치되며, 오케스트라가 잠시 연주를 멈추고, 솔로 악기가 독자적으로 연주하는 구간입니다. 이때 연주자는 자유롭게 기교를 뽐내며, 작곡자가 제시한 주제를 바탕으로 즉흥적인 변형을 시도하거나 화려한 패시지를 연주합니다.카덴차는 음악적 기술과 해석 능력을 동시에 요구하는 구간으로, 그 곡을 연주하는 연주자만의 개성과 해석이 드러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카덴차는 단순한 독주 구간이 아니라, 음악가가 자신만의 목소리로 작곡가의 음악에 응답하는 일종의 음악적 대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카덴차가 모두 즉흥적으로 연주되었지만, 시대가 흐르면서 작.. 2025. 3. 28. [리스트] 피아노의 무대를 바꾼 남자, 그는 누구인가? 프란츠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는 낭만주의 시대의 대표적인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 단순히 음악을 연주하는 것을 넘어 공연 문화 자체를 변화시킨 인물입니다. 그가 무대에서 보여준 새로운 시도들은 오늘날까지도 피아노 공연의 기본이 되었으며, 현대적인 연주회 형태를 정착시킨 장본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가 이룬 주요 업적 네 가지를 소개합니다. 피아노의 위치를 무대 측면으로 옮기다 리스트 이전까지의 피아노 연주는 대체로 피아니스트가 관객을 등지고 피아노를 정면으로 마주한 채 진행되었습니다. 이 방식은 관객에게 피아니스트의 손동작이나 표정을 거의 보여주지 못했으며, 음향적으로도 비효율적이었습니다. 리스트는 피아노를 무대 왼편에 배치하고 측면에서 연주하는 방식을 도입했습니다. 이를.. 2025. 3. 27. [서양 음악사] 대표 작곡가들의 관계도 악기별 장르별 계보 1. 서양 음악사 대표 작곡가들의 관계도 및 영향 계보 서양 음악사는 단순히 시대 순으로 이어지는 역사만은 아닙니다. 각 시대의 작곡가들은 앞선 세대의 음악에서 배우고, 영감을 얻거나 반발하며, 새로운 음악적 길을 열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작곡가들 사이에는 스승과 제자, 동료, 혹은 경쟁자라는 복잡하고 흥미로운 관계가 형성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바로크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서양 음악사의 대표 작곡가들이 어떻게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중심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바로크 시대 – 바흐와 헨델, 비발디의 유산 바로크 시대의 중심에 있는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는 당대에 크게 주목받지는 못했지만, 이후 수많은 작곡가들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준 인물입니다. 바흐는 푸가와 대위법을 통해 작곡 기법의.. 2025. 3. 26.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5 다음